아시안컵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비겁을 넘어선 비참함 : 2024 아시안컵과 KFA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는 요체는 장수에게 달렸다 정두경 (鄭斗卿, 1597-1673) 돌아보면 어지러운 일상이 천지 삐까리인 시대인데, 어찌 혈압은 잦아들 생각을 하지 못할까? 많은 이들의 밤잠을 설치게 만들었던 아시안컵이 끝나고 설날 마저 흘러갔다. 뒷북도 너무 뒷북인 것을 잘 알고 있지만, 4강 탈락에서 부터 시작된 작은 역풍의 분노는 쉬이 잦아들기 어려워 보인다. 모두가 익히 아는데로, 1960년 우승 이후 오랜시간 무관에 그친 오욕을 씻어 내고자 했던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출사표는 끝내 실패했다. '좀비 축구', '해줘 축구'등의 오명으로 불리웠지만 존버하며 버틴 끝에 4강에서 말이다. 결과만 놓고 보면 클린스만이 말한대로 성공적일지도 모른다. 전 대회 결과인 8강에 비해서는 수치상 비약적으로 상승.. 이전 1 다음